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온오프믹스
- UserCreatioForm
- psycopg2
- help_text
- windows
- berkeley db
- nginx
- LED
- 데이터 이전
- 스마트 러닝화
- 워크샵
- 마이크로소프트
- 스포츠코치
- 샤오미
- AWS EC2
- virtualenv
- PostgreSQL
- ted
- django
- 아이디어팩토리
- 위즈네트
- restful
- 무브나우
- 탱크램팩토리
- IOT
- 미니 화이트
- uWSGI
- virtualenvwrapper
- 미밴드 1S
- Python
- Today
- Total
NERD WORLD
Django 공식 홈페이지 튜토리얼 - (1) 본문
작년 여름 (2015년 7-8월)에 정말 신나게 배우고 나서 잠시 손 놓고있던 Django 프레임워크를 다시 건들여볼까 합니다.
우선 제 블로그를 직접 만들어보는 것을 목표로 해볼까 합니다. 그런 의미로 블로그 만들기 라는 이름의 카테고리도 하나 추가하였구요. 블로그를 만드는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는 저 카테고리에 글을 써볼 계획입니다.
본 Python - Django 카테고리에서는 블로그 만들기를 진행하기에 앞서 Django 내용을 복습하는 과정의 기록을 담아볼까 합니다.
첫번째로, Django 공식 홈페이지 에서 제공하는 튜토리얼을 빈틈없이 따라가 볼 계획입니다.
그 과정에서 제 나름대로 정리한 내용을 블로그에 공유해볼까 합니다.
1 - 프로젝트(Project) 생성
프로젝트 생성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뒤
django-admin startproject 프로젝트_이름 의 커맨드를 입력한다.
자동으로 디렉토리 구조가 만들어질텐데, 가장 바깥쪽의 프로젝트_이름 디렉토리명은 의미가 없으니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안쪽의 프로젝트_이름 디렉토리는 실제 Python package 이므로 의의가 있다. 하위에 비어있는 __init.py__ 파일이 존재하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2 - 서버를 가동시켜본 뒤 확인
python manage.py runserver 0.0.0.0:8000 커맨드로 ip 주소 / port 번호도 바꿀 수 있다.
3. - 앱(App) 생성
manage.py 파일이 있는 위치에서 프로젝트에 사용될 새로운 앱을 생성할 수 있다.
python manage.py start app 앱_이름 의 커맨드를 사용한다.
앱 = A web application that does something (e.g. Weblog system, a database of public records or a simple poll app)
프로젝트 = A collection of configuration and apps for a particular website.
4 - 첫 뷰(View) 생성
HttpResponse 메소드를 활용해서 아주 간단한 뷰를 만들어볼 수 있다.
(polls/views.py 를 수정한다)
(django.http 에서 HttpResponse 를 import)
5 - URL 매핑(mapping) 설정
우선 해당 앱에 urls.py 를 새로 생성하고, 해당 앱에서 맡아줄 URL 패턴을 정의해준다.
(django.conf.urls 에서 url을 import)
인자 1 = regex
인자 2 = 매핑해줄 뷰
인자 3 = 이름 지어주기
그 후에 프로젝트의 urls.py 에서 polls 앱이 맡아줄 URL 패턴을 추가 설정해준다.
(django.conf.urls 에서 include 를 import 해서 사용)
6 - DB 셋업
Python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SQLite 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 바꾸고 싶다면, settings.py 의 DATABASES 딕셔너리의 값을 바꿔준다.
만약 SQLite 3를 쓰는게 아니라면, 딕셔너리에 USER, PASSWORD, HOST 딕셔너리가 추가되어야 한다.
TIME_ZONE 을 KR로 변경한다.
7 - Model 만들기
'Python - Dja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인스턴스에 Django+Nginx+uWSGI+PostgreSQL로 배포하기 (0) | 2016.06.16 |
---|---|
Django의 Windows 개발환경에서 PostgreSQL 사용하기 (2) | 2016.06.11 |
Windows에서 virtualenv / virtualenv-wrapper 사용하기 (0) | 2016.06.10 |
Django에 uWSGI랑 Nginx 결합하기 (0) | 2016.06.08 |
Django template language이 제공하는 {{ form }} 커스터마이징 (0) | 2016.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