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무브나우
- 마이크로소프트
- django
- 워크샵
- AWS EC2
- uWSGI
- nginx
- 스포츠코치
- 데이터 이전
- 미밴드 1S
- 탱크램팩토리
- 미니 화이트
- PostgreSQL
- help_text
- ted
- LED
- 샤오미
- 아이디어팩토리
- 스마트 러닝화
- restful
- windows
- 위즈네트
- IOT
- virtualenvwrapper
- UserCreatioForm
- virtualenv
- Python
- 온오프믹스
- psycopg2
- berkeley db
- Today
- Total
목록uWSGI (2)
NERD WORLD
플스방에서 친구들이랑 위닝 일레븐 게임하고나서 전적을 기록하고 언제나 확인할 수 있도록 Django로 웹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만들면 더 좋았겠지만, 안드로이드 개발이 약해서 모바일 웹을 타겟으로 만들고 있다. 추가 구현해야할 기능들이 꽤 남아 있지만, 구현이 일단락은 되었다는 생각이 들어서 친구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AWS EC2에 배포해봤다. Ubuntu OS가 익숙치 않아서, 배포해나가는 과정이 어려웠다. 올바르게 배포한건지는 모르겠다. 다만 EC2 인스턴스의 Public IP로 접속, PostgreSQL DB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으므로 한번 정리해두고 넘어가려 한다.Unix domain socket 이번 포스트의 키워드는 Django, Nginx, uWS..
Django가 제공하는 manage.py runserver 커맨드로도 간단한 웹 서버를 구동할 수 있다. 공식 홈페이지 튜토리얼에 따르면 "Pure" Python으로 작성된 웹 서버라고 한다. 하지만 실서비스를 배포할때 쓰기에는 부적절하다고 한다. 간단한만큼 기능이 부족할 수도 있겠고, 성능 문제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실서비스를 배포할때는 기존에 개발되어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Django와 결합시켜서 쓴다. 그렇다면 어떤 웹 서버와 어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사용할 것인가? 박영록님이 쓴 "스타트업을 위한 기술 스택" 이라는 글을 참고서로 삼았다. 웹 서버에는 Apache 보다 Nginx를 더 추천하였기에 이를 골랐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사용하는 언어와..